-
- [기고] 기후위기, 지역에서는 뭘 할까?
- 코로나로 많은 사람들이 죽고 경제가 마비되고 사회가 기능을 멈추는 등 온 세계가 흔들리고 있다. [박문기 함...
- 2020-09-03
-
- [기고]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다
- 도시재생뉴딜사업은 연평균 10조원 대 공적 재원을 투입해 연간 39만개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하는 문재인 정부의 대표적인 국책사업 중 하나로, 매년 100여...
- 2020-06-30
-
- [기고] 농지를 살 때도 자격이 필요하다
- ‘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’는 속담이 있다. 여기서 ‘땅’은 농사를 지을 수 있는 ‘논’과 ‘밭’이라고 이해하자.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농사를...
- 2020-06-18
-
- 새로운 학습 환경으로서의 가포고등학교 이전을 바라본다.
- 새로운 학습 환경으로서의 가포고등학교 이전을 바라본다.김영선(시사경남 자문변호사. 전 국회의원)가포고등학교 이전은 박종훈 경남교육감의 공약사항이...
- 2018-07-20
-
- 세계적 글로벌 기업 삼성전자를 창원에 유치하자.
- [경남대학교 부총장 / 극동문제연구소장 윤 대 규] 창원은 기계 산업 기지로서 우리나라 산업화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해왔다. 오늘날 산업 구조상의 변화...
- 2018-02-14
-
- 사회복무요원, 그들을 바라보는 방법
- 경남지방병무청 김중화 사회복무과장[기고-경남지방병무청 김중화 사회복무과장] 작년 케이블 TV에서 ‘현장스케치, 그들이 ...
- 2017-03-22
-
- <김종현의 풍진세상> 가계부채 폭탄 돌리기
- 경제 위기론의 한복판에서 최순실 사태가 두 달 가까이 국정을 잠식하자 이러다가 민생이 붕괴하는 것 아니냐는 불안이 커지고 있다. 여러 위기가 중첩됐지...
- 2016-12-21
-
- <이희용의 글로벌시대> 라디오 탄생 110주년과 지구촌 시대
- 지금으로부터 110년 전인 1906년 12월 24일 오후 8시, 미국 북동부 매사추세츠주 브랜트록 기지국. 캐나다 출신의 발명가 레지널드 페선던은 아내, 아들, 조수, ...
- 2016-12-21
-
- <추왕훈의 데자뷔> 워터게이트의 교훈
- 최순실 국정농단 의혹 사건은 현직 대통령이 범죄행위에 연루된 것으로 의심을 받아 거센 사퇴압력에 직면한 점에서 미국의 제37대 대통령 리처드 닉슨의 사...
- 2016-11-20
-
- <김종현의 풍진세상> 증세, 둑이 무너지나
- 하늘 아래 공짜는 없다. '무상'이나 '반값'이라는 말이 들어간 정치인들의 공약이 쌓이면 결국 세금을 올려야 하는 건 필연이다. 그 세금을 누구 주머니를 털...
- 2016-10-12
-
- <현경숙의 시각> 아이를 낳지 않는 여자들의 반란
- 이슬람 문학의 감수성이 얼마나 아름다울 수 있는가를 보여준 할레드 호세이니는 2003년 첫 소설 '연을 좇는 아이'(The Kite Runner)로 일약 베스트셀러 작가가 됐...
- 2016-10-12
-
- 비움⦁공감⦁행복- 공덕암 교수 칼럼
- [창원-시사경남] “인간은 맹수와 동물보다 더 탐욕적이고 잔혹하다. 아무리 맹수라 할지라도 배고프지 않는 한 탐욕적이지 않고, 자극 받지 않는 한 잔혹하지...
- 2016-09-28
-
- 황재훈 논설위원 의 광화문별곡
- 며칠 전 태평양을 건너온 한 장의 사진이 눈길을 끌었다.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국립 흑인역사박물관 개관식에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조지 W. 부시 전 ...
- 2016-09-28
-
- 기업교육연구소 송경화의 알짬 칼럼
- [창원-시사경남] 함께 만드는 기업이 즐겁게 성장한다. 나는 1년 전까지 누구나 알만한 우리나라 대표 대기업 전자회사의 교육부서에 오랫동안 근무했다. ...
- 2016-09-28
-
- 난 싸다 - 김재엽 시인
- [창원-시사경남] 당.신.멋.져. 참 많이 써 먹었던 건배사다. ‘당당하게 살자. 신나게 살자. 멋지게 살자. 그리고 져주며 살자.’라는 뜻이었다. 당신이 멋...
- 2016-09-28
-
- 보석보다 귀한 좋은 친구 -공덕암(창원대학교 교수)
- 어려운 일 당했을 때, “그 친구 같았으면 어떻게 처신하고 대처했을까?” 라고 머리에 떠오르는 그런 친구. 연륜도, 직업도, 성별의 차이도 뛰어넘는 그런 친구를 맘속에 새싹으로 키워봅시다. 그런 친...
- 2016-04-26
-
- 친할수록 존중하며, 디딤돌이 되자 -공덕암(창원대학교 교수)
- 첫째, 가까운 사람이 멀어지면 원수보다 더 못하다.둘째, 무식한 것이 차라리 교만보다 낫다.셋째, 걸림돌인가? 디딤돌인가? 평소 생각해 보았던 것들을 일상에서 느끼며 새삼 떠올라서 이 글의 독자들과 ...
- 2016-04-26
-
- 레저스포츠를 통해 깨닫는 교훈 -공덕암(창원대학교 교수)
- 스포츠 관전이나 체험을 통해 깨달은 간단한 교훈과 진리 몇 가지를 독자들과 함께 생각해보기로 한다. 나의 직업 특성 때문인지 언제부턴가 메모장을 가지고 다니는데, 학생들이나 자녀에게 일러줄 생...
- 2016-04-26
-
- 우리사회 문제에 대한 성찰 -공덕암(창원대학교 교수)
- 최근 우리가 직면한 사회문제는 자식들이나 후진들에게 부끄러울 뿐 아니라, 너무나 무겁고 복잡하여 질식할 것만 같다. 고학력자 실업문제, 각종 사건 사고, 장기침체에 직면한 경제문제, 노령화시대의...
- 2016-04-26
-
- 자녀양육 훈수 한 수 -공덕암(창원대학교 교수)
- 지금 자라나는 어린자녀들과 청년들의 떡잎 속에 우리의 미래가 잠재되어 있다. 이에 가정, 사회, 국가의 경쟁력도 그들에게 달려있다. 그래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각종 프로그램과 정책을 개발하여...
- 2016-04-26